위 파일은 인터넷서 얻은 도식화 파일이다. 그림으로 설명이 참 깔끔하게 잘 된듯 하다. 참조... http://swblog.net/entry/B-Tree B트리의 처리 방식은 제각각인 듯 하다. B트리의 원칙만 잘 지키면 되는 듯 하다. 삽입의 경우 좀 특이하게 처리했던 경우는(이재규 알고리즘 강좌) 일단 위에서부터 아예 포화상태에 놓인 경우(5차원시 노드에 5개 요소가 있는경우) 먼저 분할시키면서 아래로 내려와서 마침내 들어갈 자리를 찾으면 해당 노드에 요소를 삽입하는 방식이다. 이때문에 해당 노드에서 분할시에 부모가 오버플로우될 상황은 없다.(부모노드 요소의 갯수는 모두 4개 이하이므로) 다른 방식은 위 도식화에서 표현하듯이 저질러놓고 수습하는 방식인 데 이게 일반적인 경우인 듯 하다. 일단 해당 값..